티스토리 뷰

반응형

[ 목차 ]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완벽 비교 + 차이점 한눈에 알아보기 2025

    은퇴 후 생활을 준비하다 보면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죠. 하지만 많은 분들이 이 두 연금제도의 차이점을 헷갈려 하세요. 두 제도 모두 노후 생활을 지원하지만, 목적과 운영 방식에 중요한 차이가 있어요.

    📌 기초연금-국민연금(노령연금) 비교 안내 https://www.mohw.go.kr/menu.es?mid=a10714040000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근본적인 차이는 무엇일까요?

    **노령연금(국민연금)**은 일하는 동안 본인이 보험료를 납부하고 이를 기반으로 받는 연금이에요. 쉽게 말해 미리 저축해둔 돈을 나중에 돌려받는 방식이죠.

    반면, 기초연금보험료 납부 여부와 상관없이 소득과 재산이 적은 어르신들께 국가가 지급하는 복지제도예요. 본인이 따로 기여하지 않아도 조건에 맞으면 받을 수 있어요.

    내기초연금 확인하러가기

    수급 자격은 어떻게 다른가요?

    노령연금(국민연금) 수급 자격

    • 가입 조건: 최소 10년(120개월) 이상 보험료 납부
    • 연령 기준: 출생연도에 따라 만 60~65세(2025년 기준)
    • 재산·소득 기준: 없음 (얼마나 부자든 상관없이 납부했으면 받을 수 있음)

    기초연금 수급 자격

    • 연령 기준: 만 65세 이상
    • 소득·재산 기준: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2025년 기준 단독가구 월 195만원 수준)
    • 가입 조건: 별도 가입 필요 없음

    특히 주목할 점은 기초연금은 모든 노인에게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소득과 재산이 적은 하위 70% 노인에게만 지급된다는 점이에요.

    연금 금액은 얼마나 차이날까요?

    노령연금 금액

    • 본인의 납부 기간과 소득수준에 따라 결정
    • 2025년 기준 평균 약 65만원 수준
    • 가입기간이 길고 소득이 높을수록 연금액 증가
    • 최대 수령액에 제한 없음(40년 이상 납부 시 상당히 높을 수 있음)

    기초연금 금액

    • 2025년 기준 최대 월 32만원 수준
    • 모든 수급자가 동일 금액 아님 (소득·재산에 따라 차등)
    • 국민연금 수령액에 따라 감액될 수 있음
    • 부부 모두 수급 시 각각 20% 감액

    동시 수급이 가능할까요?

    네, 가능합니다! 두 연금은 별개의 제도이므로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동시에 받을 수 있어요. 다만,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으면 기초연금이 감액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 국민연금이 월 30만원인 경우 → 기초연금 대부분 수령 가능
    • 국민연금이 월 80만원 이상인 경우 → 기초연금 수령 어려울 수 있음

    신청 방법의 차이

    노령연금 신청

    •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 국민연금 홈페이지(www.nps.or.kr)
    • 콜센터(1355) 전화 신청

    기초연금 신청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
    • 기초연금 콜센터(1355) 전화 신청

    알아두면 좋은 추가 정보

    1. 노령연금은 물가상승률에 따라 매년 조정되고, 기초연금은 정부 정책에 따라 인상률이 결정돼요.
    2. 유족연금 차이
      • 노령연금: 수급자 사망 시 배우자 등 유족에게 연금의 일부 지급
      • 기초연금: 수급자 사망 시 자동 소멸 (유족에게 승계되지 않음)
    3. 해외 거주 시
      • 노령연금: 해외에 살아도 계속 받을 수 있음
      • 기초연금: 해외 체류 60일 초과 시 정지, 국내 복귀 시 재개

    마무리

    노령연금은 본인이 납부한 보험료를 바탕으로 한 '권리'에 가깝고, 기초연금은 소득이 적은 어르신을 위한 '복지제도'라고 볼 수 있어요. 이상적인 노후 준비는 국민연금을 충분히 납부하되, 조건이 된다면 기초연금도 함께 받는 것이에요.

    본인의 상황에 맞는 정확한 연금 정보가 필요하시면 국민연금공단이나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상담받아 보세요. 이 정보가 유용하셨다면 주변 분들에게도 공유해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