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연차비(연차 수당) 계산 방법을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

 

 

📌 연차수당 계산 공식

👉 연차수당 = 1일 통상임금 × 미사용 연차일수


📍 연차수당 계산하는 법 (단계별 정리)

1️⃣ 1일 통상임금 구하기

 

 

통상임금은 기본급 + 고정적인 수당을 포함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 1일 통상임금 = 월 통상임금 ÷ 월 소정 근로일수

예를 들어,

  • 월급(기본급 + 고정수당) = 300만 원
  • 월 소정 근로일수(한 달 기준 근무일) = 20일

1일 통상임금 = 3,000,000원 ÷ 20일 = 150,000원


2️⃣ 미사용 연차일수 확인

  • 1년 동안 발생한 연차 중 사용하지 않은 날 수를 확인하세요.
    예를 들어, 연차 15일 발생했는데 5일만 사용했다면,
    미사용 연차 = 10일

3️⃣ 연차수당 계산

연차수당 = 150,000원 × 10일 = 1,500,000원

즉, 연차를 사용하지 않고 남겨둔 10일에 대해 150만 원의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꼭 알아야 할 점!

  1. 연차 발생 기준
    • 1년 미만 근로자는 한 달 개근 시 1일씩 발생
    • 1년 이상 근무하면 최대 15일(최대 25일까지 증가 가능)
  2. 연차수당은 퇴직 시 정산
    • 사용하지 않은 연차가 있으면 퇴직 시 수당으로 지급
  3. 기업별 규정 확인 필요
    • 일부 회사는 별도 연차 정책이 있을 수 있음

이제 연차수당 계산할 수 있겠죠? 😃
추가로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 질문해 주세요! ✨

퇴직금계산법도 있어요!!!

퇴직금은 밑에서확인바랍니다

퇴직금계산하러 가보기!!

반응형